[KNS뉴스통신=송영배 기자] 전기 자동차가 나오기 전에는 자동차 화재 발생하는 것은 거의 신경 쓰지 않았다.
일반 차량의 소유주는 혹시 일어날 수 있는 화재 사고의 예방 차원으로 기본적으로 용량이 작은 소형 ABC 분말 소화기를 비치하고는 있지만 특별히 걱정하지 않았다
초기 발화에 신속히 대처하고 소방차가 도착하면 자동차의 화재는 손쉽게 막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엔진 과열이나 오일 누수로 자동차에 화재가 나는 일은 간혹 발생하였지만 피해 정도는 경미하여 심각하진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얼마 전부터 전기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출시되면서부터 전기 자동차 문제에 대한 양상이 완전히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본질적인 문제를 분석해 보면 결코 가볍게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
전기 자동차는 대부분 충전된 배터리의 에너지로 구동한다. 그런데 부피와 충전시간을 고려해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리튬이온배터리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자동차의 동력이 내연기관 엔진에서 리튬이온배터리용 모터로 구동하여 추력을 내기 때문이다.
그럼 왜 전기자동차가 화재에 취약한지 운전자와 탑승자가 위험에 처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자동차가 구동할 시 리튬이온배터리의 온도가 180도를 넘었을 때 화재가 발생하는데 이것이 셀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속 발화가 되기 때문에 한 번 화재가 발생하면 좀처럼 소화가 되지 않고 거의 전소가 될 때까지 꺼지지 않는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 시 거의 폭발하는 수준으로 운전자와 탑승자가 위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구조상 연속식 셀 형태로 직렬연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터리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했을 시 소화방법은 물속에 자동차를 담가 열을 식혀야만 되기 때문이다.
전기 자동차를 타고 다닐 시 화재가 발생 시 대처하는 방법과 화재 진압을 어떻게 하고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를 모든 시민들이 알아야겠다.
지구온난화 방지에 친환경 소재를 찾다가 결국 리튬이온전지를 찾았지만 결국 얻는 것이 있으면 잃는 것이 있다는 섭리를 배우는 것 같아 입에서 달지만 배에서 쓴 결과가 되지 않는가 싶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 자동차 화재가 발생 시에는 우습게도 차량을 통째로 들어 거대한 물통 속에 넣어서 불을 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아직 그런 소방 설비도 갖추고 있지 못하다.
전기 자동차의 대표적 기업은 테슬라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 시 완전 진압까지는 7시간 걸리며 그 물의 양은 10만 리터의 물이 필요하다. 이 양은 현지 소방서 한 곳이 보통 한 달 동안에 사용하는 양과 같은 양이다.
소화 후 10만 리터의 잔해(물은)는 환경오염으로 우리의 식수와 생활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전기차 화재 대응 방법이 소방당국의 전문적인 대응 방법을 연구하거나 적용하는 훈련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럼 화재를 막기 위해서 기술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시급한 것은 무엇일까; 차량 내부에 화재가 발생 시 내부 1차 적으로 소화시스템이 필요 차량 내열 감지 시스템을 적용해서 불이 나기 전에 운전자가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용자는 충전 시 배터리 충전 목표량을 설정과 충전을 배터리의 온도를 급격히 높일 우려가 있는 급속 충전은 피해야 하다.
운전을 할 때는 최대한 차체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조심히 하고 차량용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합니다.
필자는 기후 변화와 자원 보호에 가장 최적합의라고 여겼던 자동차용 배터리 부분의 화재 발생 안전장치를 이해 못 하는 운전자를 위해서 화재 예방과 운용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정보를 받아 보다 안전한 자동차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많은 사례 들을 모아 화재 예방의 경종을 위해 기사로 올릴까 한다.
송영배 기자 dandory20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