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투자비용 최소화, 일반농가들의 진입장벽 낮춘 전북형 스마트팜 모델 개발 주문
[KNS뉴스통신=김봉환 기자] 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스마트농업활성화연구회(두세훈 대표의원)는 지난 13일 농산업경제위원회 회의실에서 “전라북도 원예농업 스마트 영농화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연구단체 대표의원인 두세훈 의원(완주2ㆍ더불어민주당)은 “전라북도는 첨단농업의 메카로 ‘아시아 농생명 스마트밸리’ 조성사업 등 ICT를 적용한 스마트 팜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대다수 농업인이 고령ㆍ영세농으로 단기적인 보급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며, “도내 농가들의 스마트영농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용역을 추진하게 됐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지난 8월부터 진행된 이번 의원연구단체 연구용역은 최종 보고회를 통해 전라북도 원예농가의 스마트영농 접근성과 생산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등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책임연구원인 이소진 센터장(지역농업네트워크협동조합)은 “전라남도와 농협경제지주의 보급형 스마트팜 모델 사례를 소개하며 도내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규모 자작농이 쉽게 도입 가능한 저가형 기자재ㆍ설비 개발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러면서 “농가당 15백만원의 예산을 투자해 단순 자동개폐장치만 적용된 비닐하우스에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으로 시설을 제어하는 장치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도내 권역별로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이와 연계한 스마트농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함으로써 농업의 편의성, 생산성,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두세훈 대표의원은 “농업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이 새로운 기회요인으로 대두되는 가운데 국내 스마트팜 보급면적이 2014년 405㏊에서 2018년 4,510㏊로 10배 이상 증가했다”며, “농업의 내부 여건과 미래 환경 변화는 스마트농업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어 이번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전라북도가 스마트영농화 활성화로 시설원예 분야 전국 최고의 기술 수준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의원연구단체인 스마트농업활성화연구회는 두세훈 대표의원, 나인권 연구책임 외 8명의 의원들이 연구단체를 통해 도내 스마트농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스마트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펼쳐 왔다.
김봉환 기자 bong21@empal.com